정보제공

2025 다자녀 기준 / 다자녀 혜택 총정리!

everythingforuu 2025. 1. 29. 17:17
728x90
반응형
SMALL

2025년 다자녀 기준 / 다자녀 혜택 총정리! 🎉
 
다자녀 가구는 이제 더 이상 특별한 가구가 아닙니다. 정부는 다자녀 가구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데요, 2025년부터 적용되는 다자녀 혜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다자녀 가구의 정의

다자녀 가구란, 자녀가 2명 이상인 가구를 의미해요. 2025년부터는 2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도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 중 하나로, 많은 가구가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될 것입니다.

2. 2025년 다자녀 혜택의 변화

2025년부터는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이 확대됩니다. 특히, 2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며, 기존의 3명 이상 가구에 대한 지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게 됩니다.
 

 

이미지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3. 다자녀 가구의 혜택 요약

2025년부터 다자녀 가구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양육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이기 위한 다자녀 혜택 기준  3자녀 →  2자녀 
  • 공공주택 다자녀 특별공급 청약(11월 시행)
    - 자녀수가 많은 가구일수록 넓은 면적의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할 수 있도록 적정 공급면적 기준을 마련
    - 무주택 구성원은 일반 공급과 청약 경쟁 없이 분양 및 임대주택을 특별 / 분양 전환 공공 주택 등 우선 공급 가능
  • 자동차 취득세 면제·감면
    - 자동차 취득세를 면제 및 감면
    - 140만원까지 할인 가능, 취등록세 140만원 이하 전액 면제
  • 문화시설 이용료 할인
    - 다자녀 우대카드 기준 변경하여 할인 혜택 적용
    - 영유아 동반자 우선 입장 가능한 패스트트랙 도입
  • 초등돌봄교실·아이돌봄서비스 신청 자격 부ㅕ
    - 초등돌봄교실 : 지원 대상 확대
    - 아동돌봄서비스 : 자녀 수에 따라 본인부담금 추가 할인
  • 초·중·고 교육비 지원
    - 2자녀 가구 또는 첫째 자녀부터 지원
  •  KTX·SRT 철도 운임 할인: 약 30% 철도운임 할인
  • 전기, 도시가스 등 지원: 전기, 도시가스, 난방비 등 공공요금 일정 한도 내 지원
  • 국민연금 출산 크레딧
    - 일정 기간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사람은 최장 50개월의 국민연금 가입 기간을 추가로 인정해 주는 제도 시행
  • 출산축하금
    - 자녀 출산 시 출산축하금을 지원, 자녀가 많을수록 출산축하금의 금액 증가(아이 사랑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
  • 공영주차장 50% 감면(서울)
    - 서울 시민의 경우 서울 시내 공영주차장을 반값, 서울캠핑장 등 가족자연 체험 시설 30% 할인
  • 다자녀 우대카드
    각 지자체마다 다자녀 우대카드 발급이 가능. 지하철 이용, 주차비, 놀이공원, 음식점 등에서 요금할인 및 요금감면

★ ‘정부24’에서 출산지원 서비스를 한 번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

- 행복 출산 원스톱 서비스로 출생신고와 함께 △첫만남이용권 △ 영아수당 △ 다자녀 전기료 △ 다자녀 도시가스료 △ 다자녀 지역난방비 등 각종 출산지원 서비스를 한 번에 신청가능합니다.
*단, 정부 24 행복 출산 원스톱 서비스에서 신청이 안 되는 항목은 개별 신청

 
다자녀 가구의 미래는 밝습니다. 정부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정책을 개선하고 있으며,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을 더욱 확대할 계획입니다. 앞으로도 많은 가구가 이러한 혜택을 통해 행복한 가정을 꾸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

728x90
반응형
LIST